-
입추(立秋)란? 가을의 문턱에서 만나는 계절의 전환점
더위가 한창인 여름, 아직 많이 더운데, 8월 달력을 넘겨보면 눈에 띄는 단어가 눈에 들어옵니다. 바로 입추(立秋)!! 무더위 속에서도 "가을이 시작된다"는 이 절기는, 단순한 날짜가 아니라 오랜 전통의 지혜와 자연의 이치를 담고 있는 24절기 중 열셋째 절기입니다. 입추를 함께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입추란 무엇인가요?
입추(立秋)는 ‘가을이 시작되는 날’이라는 뜻입니다. 태양의 황경이 135도에 도달할 때로, 양력으로는 매년 8월 7일 또는 8일경에 해당합니다. 아직은 폭염이 지속되는 날씨지만, 이 시점을 기준으로 농촌에서는 본격적인 가을 농사의 시작을 준비하고 자연의 흐름도 서서히 변화하기 시작합니다.
입추의 유래는?
입추는 중국의 전통 농경 사회에서 유래한 24절기 중 하나로, 고대에는 계절의 변화를 예측하고 농사의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절기를 나눴습니다. 한국에서도 조선시대부터 농사력(農事曆)에 따라 절기를 생활 속에서 중요하게 여겼고, 그 흐름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입추의 자연 변화
입추가 지나면 자연은 조금씩 변해갑니다.낮과 밤의 길이가 달라지고, 밤기온이 서서히 내려가기 시작합니다.
곤충들의 울음소리가 조금씩 더 선명하게 들리고, 들판의 벼와 곡물들도 무르익기 위한 준비에 들어갑니다.
물론 한반도에서는 입추 이후에도 폭염이 이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절기는 계절의 이정표’라는 말처럼, 입추를 기점으로 우리는 가을을 준비하기 시작하는 것이죠.
입추의 특징
1. 말복과 겹치면? 더위의 절정
입추가 보통 삼복 중 말복과 비슷한 시기에 오기 때문에, "입추가 지났는데도 왜 이렇게 덥지?" 하고 의문이 생기기 쉽습니다. 이는 ‘더위의 절정과 가을의 시작이 겹치는 현상’으로, 기후학적으로도 여름철 고온 현상이 가장 강한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2. 입추 뒤 첫 번째 비, ‘처서비’
입추를 지나 처음 오는 비를 ‘처서비’라고 부르며, 이 비가 오면 더위가 꺾이고 본격적인 가을로 접어든다고 여겨졌습니다. 특히 농촌에서는 이 비를 반가워하며, 가을 작물의 생장을 기대하게 되죠.
3. 입추 풍습
과거에는 입추가 되면 시원한 바람이 불어오기를 기원하며, 대나무부채나 제철 음식을 나눴고,
농가에서는 가을걷이 준비를 시작하며 ‘초가을의 안녕’을 기원했습니다.
입추에 먹는 음식
입추에는 특별히 ‘보양 음식’을 챙겨 먹는 문화도 있습니다. 입추 무렵은 삼복더위와 겹쳐 몸이 지치기 쉬운 시기이기 때문에 삼계탕, 오리백숙, 장어구이 등 보양식을 먹으며 체력을 보충하려는 습관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입추는 단지 달력 속의 날짜가 아닌, 계절이 움직이는 작은 징조를 알려주는 신호입니다. 무더위 속에서도 귀를 기울이면 들려오는 풀벌레 소리, 해가 짧아지는 느낌, 살짝 선선해지는 새벽 공기... 이런 자연의 사소한 변화들이 모두 입추를 통해서 가을이 우리 곁에 왔음을 알려줍니다. 아울러 환절기가 다가왔으니 건강에 유의하는게 좋겠습니다.
'생활의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진다초점과 다른 데스크 안경, 컴퓨터족에게 필수인 이유는? (2) 2025.08.04 삼성 양문형 냉장고 온도 표시 깜빡거림 원인과 해결법 총정리! (2) 2025.08.02 강선우 후보자 사퇴 논란 정리 (0) 2025.07.24 폭염경보,폭염주의보 기준과 기간은?? (1) 2025.07.22 제습기 선택요령과 가격대별 추천상품 정리 (1) 2025.07.18